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번 포스트에서는 좁은 인공지능(Narrow AI)일반 인공지능(General AI)의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해보고, 앞으로 인공지능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게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최근들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란 말이 흔하게 들립니다. 기계, 컴퓨터, 로봇등이 먼저 떠오르는 단어들이지요. 모두 맞습니다. 사람들이 했던 일들을 기계인 컴퓨터가 대신 처리할 수 있도록 이용하는 기술이 인공지능 입니다. 

 

처음에는 사람들이 미리 정해 놓은 규칙이나 논리대로 움직이며,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주로 해왔습니다. 이후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술, 딥 러닝(Deep Learning)기술 등이 도입되면서 더 복잡하고 난이도 있는 일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좁은 인공지능(Narrow AI)

2016년 3월 인공지능 기술이 일반 대중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던 일이 있었습니다. 7, 8년 전만 해도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를 요즘처럼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구글챌린지

 

전 세계의 이목이 대한민국 바둑판으로 쏠렸는데,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고(Alphago)가 세계 최정상급 프로기사인 이세돌 기사에게 4승 1패로 이긴 것입니다. 그 세기적인 대결 이후에 AI기술이 인간을 능가할 수 도 있겠다는 생각이 많은 사람들에게 퍼져 나갔던 거 같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바둑의 경우의 수가 250150 으로 우주의 원자수인 1080 보다 많아 사실상 계산이 불가능하기 떄문에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이긴다는 것은 불가능할 거라고 간주되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인공지능을 연구했던 과학자들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고 여겼던 거죠. 

 

이 대국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특화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설계된 좁은 인공지능(Narrow AI)의 능력을 명확하게 보여 주는 사례로 바둑을 학습한 AlphaGo는 바둑에서 놀라운 성과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언어 이해, 이미지 분류, 음성 인식 등 다른 작업은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일반 인공지능(General AI)

이와 달리, 일반 인공지능(General AI)은 인간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을 이해하고 배우며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지능을 갖추며, 언어 이해, 시각 인식, 음성 인식, 자율 주행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성형 AI(Generative AI) 등장

딥 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등장하면서, 주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등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아래 알고리즘들이 생겨났습니다. 일단 용어에서 이해하기 어려울 거 같지만 하나씩 알아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변분 오토인코더(VAE, Variational Autoencoder)
  •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s)
  • 변형형 트랜스포머(Transformer)

 

OpenAI사가 지난해 12월에 공개한 ChatGPT는 주로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목적으로 설계되었고, 또한 ChatGPT의 지식과 능력은 사전에 학습한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의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몇가지 이유로 아직 ChatGPT는 진정한 의미의 General AI는 아닙니다. 

 

하지만 생성형 AI는 실제와 구분할 수 없는 사진, 그림, 디자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인간이 작곡한 거 같은 음악을 만들어 내기도하고, 이미 예술, 디자인, 게임, 콘텐츠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포스트에서는 좁은 인공지능(Narrow AI)과 일반 인공지능(General AI)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등장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Narrow AI에서 General AI로 가는 변곡점이 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언어 영역 이외의 분야에서는 비교적 약한 수행 능력을 가지고 있는 ChatGPT 출시는 더 넓은 영역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생겨나고 있는 생성형 AI는 General AI로 발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